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inal 클래스
- 객체지향 #객체지향 특징
- 패키지
- import
- 익명함수
- 클래스
- 노드
- Super
- Anonymous Functions
- 자바
- 유니코드
- Arrow function
- 라우터
- 어노테이션
- Override
- 인코딩
- final 메소드
- 디코딩
- 화살표 함수
- 메소드 재정의
- 문자집합
- final
- 즉시 실행 함수
- node
- 생성자
- annotation
- 자바의 특징
- 기본 생성자
- package
- router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6)
개인 공부 블로그
메소드 재정의(@Override) 자식 클래스에서 상속된 메소드를 재정의 하는 것. 메소드가 오버라이딩되면 부모의 메소드는 숨겨지기 때문에 자식 객체에서 메소드를 호출하면 오버라이딩된 자식 메소드가 호출된다. @Override 어노테이션은 생략해도 되나 붙여주면 컴파일러가 이 메소드가 정확히 오버라이딩 된 것인지 체크해서 개발자의 실수를 줄여줌. 부모 메소드 호출(super) 오버라이딩 되면 부모 메소드가 숨겨지는데, 자식 클래스 내부에서 오버라이딩된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호출해야 하는 상황에는 super 키워드를 붙여 호출할 수 있다. super는 부모 객체를 참조하고 있어 부모 메소드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부모 클래스의 멤버를 자식 클래스에게 물려줄 수 있는데 이것을 상속이라고 한다. - 이미 잘 개발된 클래스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기 때문에 코드의 중복을 줄여줌. - 자바는 다중상속을 허용하지 않음. 부모 생성자 호출 부모 없는 자식이 있을 수 없듯이 자식 객체를 생성하면 부모 객체가 먼저 생성되고 자식 객체가 생성됨. 부모 생성자는 자식 생성자의 맨 첫 줄에서 호출된다. 생성자가 명시적으로 선언되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기본 생성자를 생성한다. public CellPhone() { super(); } super()는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한다. 명시적으로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작성. 자식클래스( 매개변수선언, ...){ super( 매개값, ...); } 만약 부모클래스..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라우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 게임서버나 로컬 네트워크(LAN)이 대표적 비집중식 네트워크 - 여러 클라이언트가 여러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고, 이 라우터끼리 서로 연결된 형태 - 인터넷의 전체적인 구조가 이 형태를 띠고 있다. 이메일을 주고받을 때도 비집중식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함. 분산 네트워크 - 모든 노드가 계층이 없이 서로 연결된 형태. 각 노드가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인 경우도 있다. - 완전히 분산된 네트워크에서는 중앙 노드 없이 모든 노드가 서로 동등하고 서로 직접 소통할 수 있다.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제공된 서비스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노드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면 이 메시지는 목적지 노드로 곧바로 가는것이 아니라 대부분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중간노드를 거치게 된다. 이처럼 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중간 노드가 되는 기기를 라우터라고 한다. 라우터는 IP패킷을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var과 let, const의 가장 큰 차이는 스코프의 범위이다. var - 함수 영역(레벨)의 스코프let, const - 블록 영역의 스코프 전역변수 선언 전역변수로 선언하고 싶다면 let을 쓰지 않고 변수명과 초깃값만 할당하면 된다. function calculateSum(n){ sum = 0;// 전역 변수 선언 for(let i=0; i
노드(node) 인터넷은 완벽하게 똑같은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네트워크가 아니라 수많은 센터가 있고 각 센터는 서로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센터를 노드라고 부른다. 노드는 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네트워크에 있는 기기를 말함. 개인 노트북, 스마트폰도 노드가 될 수 있고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구축한 서버도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노드의 종류는 쓰임새에 따라 다양하지만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노드의 공통점은 '주소'가 있다는 것. 주소를 통해 노드가 서로를 찾을 수 있다. 정리 -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드웨어를 노드라고 한다. - 노드는 모두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인터넷에서는 IP주소가 이 주소 역할을 한다.
웹 문서는 보통 로 시작해 , ,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 문서의 유형을 지정하는 선언문 HTML 파일의 시작과 끝을 표시. 태그 뒤에는 아무 내용도 없어야 한다. 웹 브라우저에 문서 정보를 알려주는 태그 영역은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할 정보를 입력하는 곳이어서 대부분 웹 브라우저 화면에는 보이지 않는다. 문서에 사용할 스타일 시트 파일도 이 영역에서 연결한다. - 웹 브라우저에는 보이지 않지만 웹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 - 가장 중요한 역할은 어떤 인코딩을 사용할지 지정하는 것. 태그에서 인코딩을 지정하지 않으면 웹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인코딩을 처리하기 때문에 한글이 깨질 수도 있다. - 웹 문서의 제목을 입력. - 태그에 지정하는 내용이 웹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에 표시된다..
어노테이션은 메타데이터(metadata)라고 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아니라, 컴파일 과정과 실행 과정에서 코드를 어떻게 컴파일하고 처리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정보. 용도 컴파일러에게 코드 문법 에러를 체크하도록 정보를 제공 (대표적인 예 : @Override)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 빌드나 배치 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실행 시(런타임 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보를 제공 어노테이션 타입 정의와 적용 public @interface AnnotationName { 타입 elementName() [default 값]; } - @interface를 사용하여 어노테이션을 정의한다. - 어노테이션은 엘리먼트(element)를 멤버로 가질 수 있다. 각 엘리먼트는 ..
- 패키지의 물리적인 형태는 파일 시스템의 폴더이다. - 클래스를 유일하게 만들어주는 식별자 역할. 클래스명이 같아도 패키지가 다르면 다른 클래스이다. - 클래스의 전체 이름은 "패키지명+클래스명"이다. - 패키지가 중요한 이유는 클래스만 따로 복사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클래스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 클래스를 이동할 경우에는 패키지 전체를 이동시켜야 함 패키지 선언 - 패키지는 클래스를 컴파일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폴더이다. - 이클립스는 src에 있는 모든 내용을 컴파일해서 bin 폴더에 생성시킨다. import문 같은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들은 다른 클래스들을 사용가능 다른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함 1) 패키지와 클래스를 모두 기술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