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객체지향 #객체지향 특징
- package
- 문자집합
- 즉시 실행 함수
- node
- Super
- 디코딩
- 유니코드
- 자바의 특징
- 패키지
- 익명함수
- Anonymous Functions
- final
- router
- 노드
- annotation
- 클래스
- final 메소드
- 화살표 함수
- 생성자
- 인코딩
- final 클래스
- 라우터
- import
- Override
- 자바
- 기본 생성자
- Arrow function
- 어노테이션
- 메소드 재정의
- Today
- Total
목록DB (6)
개인 공부 블로그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문법. 그룹화란? 같은 값을 가진 데이터끼리 모으는 것을 말한다. 보통은 집계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GROUP BY를 사용한다.

기억장치 계층구조 많은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려 하면 속도를 잃고, 속도를 얻고자 하면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힘들다는 트레이드오프가 발생한다. - 저장소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첫번째 트레이드오프 DBMS와 기억장치의 관계 DBMS는 데이터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미들웨어이다. 따라서 기억장치와 떨어뜨릴 수 없는 관계이다. DBMS가 사용하는 대표적 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와 메모리이다. - 하드디스크(HDD)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하는 저장매체는 HDD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DBMS는 항상 디스크 이외에 메모리에도 데이터를 올려놓는다. - 메모리 디스크에 비해 기억 비용이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탑재되는 메모리 양은 한두자리 정도이다. 아무리 많다고 해도 100GB를 ..
RDB 종류(Oracle, MS SQL, PostgreSQL, MySQL 등)에 따라 각각 내부 아키텍처들이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RDB로써 기능을 제공한다는 목적은 모두 동일하고, 기본적인 구조 자체는 모두 같다. DBMS 아키텍처 SQL 실행 -> DBMS -> 데이터베이스 접근 이 중간에 있는 DBMS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처리에 대한 것 DBMS 내부 기능 1. 쿼리 평가 엔진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DBMS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SQL 구문을 분석하고 어떤 순서로 기억장치의 데이터에 접근할지를 결정한다. 이때 결정되는 계획을 '실행 계획'이라고 한다. 성능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모듈이다. 2. 버퍼 매니저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인 버퍼를 관리. 디스크 ..
한 프로그램을 위한 구현 방법은 많고 그것은 기능적으로 차이가 없어도 성능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이해하려면, SQL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내부 아키텍처와 저장소 같은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내가 작성한 SQL 구문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고 미래에 어떤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 출처 : SQL 레벨업 도서
실행계획을 잘 이해해야 쿼리들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잘 파악할 수 있고, 어떤 부분을 튜닝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