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nnotation
- 메소드 재정의
- 자바의 특징
- Arrow function
- import
- 객체지향 #객체지향 특징
- 디코딩
- 즉시 실행 함수
- 생성자
- 라우터
- 인코딩
- 자바
- 클래스
- 유니코드
- 노드
- final
- 어노테이션
- 화살표 함수
- package
- final 메소드
- 익명함수
- Override
- router
- 문자집합
- node
- final 클래스
- Super
- Anonymous Functions
- 기본 생성자
- 패키지
Archives
- Today
- Total
개인 공부 블로그
final 필드와 상수 본문
final 필드
초기값이 저장되면 이것이 최종적인 값이 되어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수정할 수 없다는 것.
- final 필드에 초기값을 줄 수 있는 방법
1) 필드 선언 시
2) 생성자에서
만약 초기화되지 않은 final 필드를 그대로 남겨두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상수 (constant)
불변의 값을 저장하는 필드를 자바에서 상수라고 한다.
final 필드를 상수라고 하지 않음. 불변의 값은 객체마다 저장할 필요가 없는 공용성을 띠고 있고,
여러가지 값으로 초기화될 수 없기 때문에.
-> 상수는 staic이면서 final이어야 한다.
static final 타입 상수 [= 초기값];
static final 필드는 객체마다 저장되지 않고, 클래스에만 포함된다. 그리고 한 번 값이 초기화되면 변경할 수 없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노테이션 (Annotation) (0) | 2023.09.18 |
---|---|
패키지 (0) | 2023.09.18 |
정적 멤버와 static (0) | 2023.09.18 |
인스턴스 멤버와 this (0) | 2023.09.16 |
생성자 (0) | 2023.09.16 |